소개
2007년 개봉한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은 단순한 개인의 비극을 넘어, 신, 용서, 구원, 그리고 인간의 감정 깊은 곳에 있는 어둠과 회복에 대해 묻는 작품이다. 배우 전도연은 이 영화로 제60회 칸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찬사를 받았고, 송강호는 절제된 연기로 극에 묵직한 균형감을 더했다. 『밀양』은 실제 있었던 사건을 바탕으로 하되, 단순한 재현을 넘어서 인간 존재의 가장 깊은 고통과 감정을 직면하게 만드는 강렬한 드라마다.
줄거리
이야기는 서울에서 남편을 잃고 아들과 단둘이 살아가던 **신애(전도연)**가 어린 아들과 함께 경상남도 밀양이라는 작은 도시로 이사 오면서 시작된다. 밀양은 신애의 고향이자, 남편과 관련된 추억이 서린 곳이다. 그녀는 그곳에서 작곡학원을 차리며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자 한다. 도시에 비해 느리게 흐르는 삶, 따뜻하고 소박한 이웃들, 그리고 자신에게 호의를 베푸는 **김종찬(송강호)**이라는 카센터 사장까지. 처음엔 모든 것이 안정적으로 흘러가는 듯 보인다.
그러나 그 평온함은 오래가지 않는다. 어느 날 신애의 아들 준이 학교를 마치고 돌아오지 않고, 결국 그는 유괴당한 뒤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다. 범인은 그녀의 지인으로 밝혀지고, 아이를 살해한 후 사체를 유기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신애는 엄청난 충격과 절망 속에서 삶의 모든 의미를 잃는다. 아들을 향한 죄책감, 세상에 대한 분노, 그리고 설명할 수 없는 깊은 슬픔이 그녀를 갉아먹는다.
시간이 흘러도 고통은 줄지 않는다. 그런 그녀가 기대게 된 것은 바로 기독교 신앙이었다. 처음에는 교회와 신을 혐오하던 그녀였지만, 교회 공동체의 따뜻한 배려와 지지를 받으며 서서히 신에게 마음을 열게 된다. 그녀는 기도를 통해 마음의 안정을 찾아가고, 신의 뜻에 모든 것을 맡기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마침내, 자신을 완전히 망가뜨린 범인을 ‘용서’하기 위해 교도소를 찾아간다.
하지만 바로 이 장면에서 영화는 다시 한번 그녀의 믿음을 시험한다. 범인은 이미 교도소에서 회개하고 신의 용서를 받았다고 말하며, 자신의 마음은 지금 너무도 평안하다고 한다. 그 말은 신애에게 너무도 잔인하게 들린다. 자신의 삶은 여전히 지옥인데, 아들을 죽인 사람은 신의 이름 아래 구원을 받았다는 사실에 그녀는 무너지기 시작한다. 신을 믿으며 붙잡았던 구원의 희망은 그 순간 산산이 부서지고, 그녀의 내면엔 다시 혼돈이 깃든다.
신애는 다시 방황한다. 교회를 떠나고, 술에 취한 채 사람들에게 분노를 터뜨리고, 급기야는 자기 자신조차 미워하게 된다. 그녀는 다시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며, 스스로에게 “도대체 신은 누구 편인가?”라고 묻는다. 종찬은 그런 신애를 조용히 지켜보며 말없이 곁을 지킨다. 사랑이라고 하기엔 조심스럽고, 동정이라고 하기엔 너무 깊은 애정이 담긴 그의 존재는 이 영화의 또 다른 중심축이다.
영화는 신애가 다시 미용실에서 머리를 자르고, 거울 앞에 앉아 있는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 그녀의 머리카락은 삐뚤빼뚤 잘려 있고, 종찬은 멍하니 그녀를 바라보며 무언가를 말하려다 멈춘다. 그 순간 신애는 비로소 한 줄기 바람처럼 스스로를 내려놓는 표정을 지으며 조용히 앉아 있다. 명확한 해답도, 통쾌한 복수도, 감정의 폭발도 없이 영화는 그렇게 끝난다. 하지만 그 안에는 고통을 껴안은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삶의 무게와 잔잔한 수용의 기색이 녹아 있다.
결말
『밀양』은 “신은 왜 우리에게 이런 시련을 주는가?”, “용서는 누굴 위한 것인가?”, “구원이란 무엇인가?”라는 무거운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 답을 강요하지 않는다. 이창동 감독 특유의 담담한 연출, 전도연의 절절한 감정 연기, 송강호의 묵직한 존재감이 어우러져 한 인간의 상실, 분노, 믿음, 그리고 다시 일어서려는 의지를 아름답고도 쓰라리게 그려낸 명작이다.
'문화생활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드맨 – 소개, 줄거리, 결말 (0) | 2025.03.25 |
---|---|
파이트클럽 – 소개, 줄거리, 결말 (0) | 2025.03.25 |
『데드라인』 – 소개, 줄거리, 결말 (0) | 2025.03.24 |
시빌 워 (Civil War, 2024)-줄거리, 등장인물, 내용정리 (0) | 2025.03.23 |
보통의 가족 (A Normal Family, 2024)-줄거리, 등장인물, 제작정보 (0) | 2025.03.23 |